교육소식
[스크랩] 마음의 벽 허무는 다문화 교육 필요하다
백두진인
2011. 6. 15. 00:36
마음의 벽 허무는 다문화 교육 필요하다
[간선보/고대 사범대학장]
사마천의 ‘사기’, ‘이사열전’에 “泰山不辭土壤 故能成其大 河海不擇細流 故能就其深 (태산불사토양 고능성기대 하해불택세류 고능취기심)”이라는 대목이 나온다. 이를 줄여서 ‘불사불택(不辭不擇)’이라고 하는데, “태산은 한 줌의 흙도 버리지 않았기에 그 크기를 이룰 수 있었고, 바다는 아무리 작은 물줄기라도 마다하지 않았기에 그 깊이를 이룰 수 있었다”라는 뜻이다.
이 내용은 지금부터 2200년도 더 전에 이사(李斯)가 진시황에게 낸 한 보고서에 있는 글이다. 진시황 시절 한나라 출신 신하가 치수사업을 맡아 하고 있었는데, 그는 논밭에 물을 안정적으로 대기 위해서는 대운하 사업을 해야 한다 주장했다. 이를 두고 조정에서는 이 사람이 한나라의 간첩으로 진나라의 국력을 피폐하게 하기 위해 운하를 판다고 비판했고, 결국 외국 출신 관리들에 대한 추방령까지 언급되기에 이른다. 이때 이사가, 대업을 수행함에 있어 외국인일지라도 모두 그 힘을 합쳐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진시황에게 올린다.
그런데 보고서를 올린 이사 또한 초나라 하급관리 출신으로 원래부터 진나라 사람은 아니었다. 인재의 중요성은 진의 통일과정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상앙, 장의, 범수, 이사, 여불위 등 진나라를 이끌었던 중신들 대부분은 외국에서 온 이른바 외인부대였다. 천금의 값이 나가는 가죽옷도 여우 한 마리의 털로 만들 수는 없고, 높은 누대의 서까래는 나무 한 그루로 만들 수 없다는 삶의 진리가 입증된 셈이다.
단일 민족을 표방하던 우리 사회가 급격히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외국인과 외국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수용적인 태도의 함양과 실천은 이제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절체절명의 당면 교육과제가 되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조사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외국문화 개방도 순위는 2008년도에 전체 55개 국 중 55위, 2009년에는 57개 중 56위였다. 한마디로 꼴찌인 셈이다. 이런 폐쇄성이라면 글로벌 사회에서의 우리를 인정받지 못함은 물론 우리 문화의 발전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불사불택’의 의미의 중요성이 새삼 가슴에 와 닿는 이유이다.
다문화 사회의 도래는 인류사회가 글로벌화(globalization) 되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삶의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과학기술과 이동수단의 발달로 국가 간·지역 간의 시간적·공간적 거리가 매우 가까워진데다 전 지구적인 글로벌화로 인해 빈번한 이주가 국가 간·지역 간에 이루어짐에 따라 우리나라도 이미 외국인 비율이 2010년 현재 2.5%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은 주로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유학생으로 구성되며, 아울러 전통적인 다문화 구성원인 화교, 북한 이탈주민과 교포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인들은 오랫동안 자신들을 단일민족으로 치부해 왔기 때문에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즉, 나와 다른 문화와 인종과 민족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배려하는 자세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우리가 글로벌화된 지구촌 사회에서 타문화, 타인종, 타민족과 더불어 공존하기 위해서는 어릴 적부터 교육의 3마당(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을 통해 타자를 인정하고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키워주어야 한다. 바로 이것이 다문화 교육이다.
다문화교육은 문화적 다원성을 인정하며, 사회경제적 지위나 인종 혹은 민족 등과 같은 요인에 관계없이 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을 조화롭게 추구하자는 교육이다. 그래서 다문화교육에서는 소수자를 위한 적응교육, 소수자 정체성 교육, 소수자 공동체를 위한 교육, 다수자 대상의 소수자 이해증진 교육을 주된 교육내용으로 삼는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의 다문화 교육은 주로 한국어 교육 등 소수자 적응을 중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주로 소수자의 적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수자들이 주류집단의 문화에 동화되는, 이른바 동화주의적 접근이 우려되는 경향도 있다. 이러한 동화주의적 접근방식은 문화를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로 구분하면서 문화제국주의적 속성에 따라 문화에 대한 우열적 평가를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한국 내에 있는 다문화 구성원을 핍박하고 왕따를 한다면 한국 밖의 전 지구촌 구성원들이 국제무대에서 한국인들에 대한 대접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른바 부메랑의 원리이다. 우리 한국인에게 세계시민(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윤리와 태도가 시급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아울러 체계적인 다문화 교육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교닷컴 2011.6.3>
이 내용은 지금부터 2200년도 더 전에 이사(李斯)가 진시황에게 낸 한 보고서에 있는 글이다. 진시황 시절 한나라 출신 신하가 치수사업을 맡아 하고 있었는데, 그는 논밭에 물을 안정적으로 대기 위해서는 대운하 사업을 해야 한다 주장했다. 이를 두고 조정에서는 이 사람이 한나라의 간첩으로 진나라의 국력을 피폐하게 하기 위해 운하를 판다고 비판했고, 결국 외국 출신 관리들에 대한 추방령까지 언급되기에 이른다. 이때 이사가, 대업을 수행함에 있어 외국인일지라도 모두 그 힘을 합쳐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진시황에게 올린다.
그런데 보고서를 올린 이사 또한 초나라 하급관리 출신으로 원래부터 진나라 사람은 아니었다. 인재의 중요성은 진의 통일과정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상앙, 장의, 범수, 이사, 여불위 등 진나라를 이끌었던 중신들 대부분은 외국에서 온 이른바 외인부대였다. 천금의 값이 나가는 가죽옷도 여우 한 마리의 털로 만들 수는 없고, 높은 누대의 서까래는 나무 한 그루로 만들 수 없다는 삶의 진리가 입증된 셈이다.
단일 민족을 표방하던 우리 사회가 급격히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외국인과 외국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수용적인 태도의 함양과 실천은 이제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절체절명의 당면 교육과제가 되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조사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외국문화 개방도 순위는 2008년도에 전체 55개 국 중 55위, 2009년에는 57개 중 56위였다. 한마디로 꼴찌인 셈이다. 이런 폐쇄성이라면 글로벌 사회에서의 우리를 인정받지 못함은 물론 우리 문화의 발전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불사불택’의 의미의 중요성이 새삼 가슴에 와 닿는 이유이다.
다문화 사회의 도래는 인류사회가 글로벌화(globalization) 되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삶의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과학기술과 이동수단의 발달로 국가 간·지역 간의 시간적·공간적 거리가 매우 가까워진데다 전 지구적인 글로벌화로 인해 빈번한 이주가 국가 간·지역 간에 이루어짐에 따라 우리나라도 이미 외국인 비율이 2010년 현재 2.5%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은 주로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유학생으로 구성되며, 아울러 전통적인 다문화 구성원인 화교, 북한 이탈주민과 교포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인들은 오랫동안 자신들을 단일민족으로 치부해 왔기 때문에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즉, 나와 다른 문화와 인종과 민족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배려하는 자세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우리가 글로벌화된 지구촌 사회에서 타문화, 타인종, 타민족과 더불어 공존하기 위해서는 어릴 적부터 교육의 3마당(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을 통해 타자를 인정하고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키워주어야 한다. 바로 이것이 다문화 교육이다.
다문화교육은 문화적 다원성을 인정하며, 사회경제적 지위나 인종 혹은 민족 등과 같은 요인에 관계없이 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을 조화롭게 추구하자는 교육이다. 그래서 다문화교육에서는 소수자를 위한 적응교육, 소수자 정체성 교육, 소수자 공동체를 위한 교육, 다수자 대상의 소수자 이해증진 교육을 주된 교육내용으로 삼는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의 다문화 교육은 주로 한국어 교육 등 소수자 적응을 중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주로 소수자의 적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수자들이 주류집단의 문화에 동화되는, 이른바 동화주의적 접근이 우려되는 경향도 있다. 이러한 동화주의적 접근방식은 문화를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로 구분하면서 문화제국주의적 속성에 따라 문화에 대한 우열적 평가를 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한국 내에 있는 다문화 구성원을 핍박하고 왕따를 한다면 한국 밖의 전 지구촌 구성원들이 국제무대에서 한국인들에 대한 대접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른바 부메랑의 원리이다. 우리 한국인에게 세계시민(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윤리와 태도가 시급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아울러 체계적인 다문화 교육이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교닷컴 2011.6.3>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