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무상급식” 큰소리… 실제는 18%뿐
친환경 무상급식을 내세운 서울 초등학교의 식재료비 가운데 친환경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17.9%에 불과했다.
또 쌀뿐만 아니라 채소에서도 농약이 검출된 사실이 확인돼 친환경 급식이라는 명목으로 예산만 더 많이 지출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친환경 식재료 거의 없는 곳도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이 22일 서울시교육청에서 받은 서울 시내 초등학교 544곳의 ‘2011년 3∼6월 급식재료 사용 현황’에 따르면 식재료비 가운데 친환경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17.9%였다.
학교별로는 최대 17배 차이가 났 다. 서초구 방현초는 식재료비 중 43.5%를 친환경 농산물 구입에 썼지만 노원구 상계초는 2.6%에 그쳤다.
사용된 친환경 농산물은 쌀과 잡곡이 7.3%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채소 5.6%, 뿌리채소 2.7%, 과일 2.1%, 기타 0.2%였다.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은 무상급식에서 친환경 농산물 사용을 강조해왔다. 농산물의 30% 이상을 친환경 제품으로 쓰라는 방침에 따라 식재료비 가운데 올해 친환경 농산물 비중은 지난해(10.2%)보다 늘었다.
그러나 친환경 농산물 사용을 고집하면서 급식 질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A초 관계자는 “우유와 인건비를 뺀 뒤 일반 농산물보다 약 2배 비싼 친환경 제품을 사려면 육류 등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B초 관계자도 “과일과 고기반찬을 줄였다. 친환경 재료 구입으로 다른 반찬이 부실해질 수 있다”고 했다.
조 의원은 “친환경 농산물의 한정적인 생산량과 비싼 가격을 감안할 때 ‘친환경 무상급식’은 교육청의 정치적 구호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 쌀에 이어 채소서도 농약 검출
서울시교육청의 친환경 무상급식이 정말 친환경이냐는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급식에 쓰는 일반 농산물과 친환경 농산물에서 농약이 계속 검출되기 때문이다.
국회 교과위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을 통해 입수한 서울시교육청의 2011년 상반기 학교급식 잔류농약검사 결과를 보면 초등학교 103곳 중 14곳에서 잔류농약이 나왔다. 이 중 7곳은 친환경 무농약 쌀에서, 7곳은 채소에서 농약이 검출됐다.
이와 관련해 시교육청은 7일 친환경 쌀에서 농약이 검출됐다는 보도 자료를 냈으나 채소 검사 결과는 공개하지 않아 농약 검출 사실을 축소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일고 있다.
채소에서 농약이 나온 7곳 중 용산구의 C초등학교는 무농약 양송이에서 일반농산물 허용기준의 60%에 이르는 농약이 나왔다. 나머지 6곳의 경우 오이와 배추에서 농약이 나왔지만 일반 농산물이라는 이유로 ‘적합’ 판정을 받았다.
권 의원은 “곽노현 교육감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친환경 무상급식을 한다고 선전하면서 1인당 급식비를 올렸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농약이 나왔다”면서 “급식 대상을 무조건 확대하기보다는 안전한 농산물을 제공하기 위한 전수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동아일보 2011/8/23>
또 쌀뿐만 아니라 채소에서도 농약이 검출된 사실이 확인돼 친환경 급식이라는 명목으로 예산만 더 많이 지출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친환경 식재료 거의 없는 곳도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이 22일 서울시교육청에서 받은 서울 시내 초등학교 544곳의 ‘2011년 3∼6월 급식재료 사용 현황’에 따르면 식재료비 가운데 친환경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17.9%였다.
학교별로는 최대 17배 차이가 났 다. 서초구 방현초는 식재료비 중 43.5%를 친환경 농산물 구입에 썼지만 노원구 상계초는 2.6%에 그쳤다.
사용된 친환경 농산물은 쌀과 잡곡이 7.3%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채소 5.6%, 뿌리채소 2.7%, 과일 2.1%, 기타 0.2%였다.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은 무상급식에서 친환경 농산물 사용을 강조해왔다. 농산물의 30% 이상을 친환경 제품으로 쓰라는 방침에 따라 식재료비 가운데 올해 친환경 농산물 비중은 지난해(10.2%)보다 늘었다.
그러나 친환경 농산물 사용을 고집하면서 급식 질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A초 관계자는 “우유와 인건비를 뺀 뒤 일반 농산물보다 약 2배 비싼 친환경 제품을 사려면 육류 등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B초 관계자도 “과일과 고기반찬을 줄였다. 친환경 재료 구입으로 다른 반찬이 부실해질 수 있다”고 했다.
조 의원은 “친환경 농산물의 한정적인 생산량과 비싼 가격을 감안할 때 ‘친환경 무상급식’은 교육청의 정치적 구호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 쌀에 이어 채소서도 농약 검출
서울시교육청의 친환경 무상급식이 정말 친환경이냐는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급식에 쓰는 일반 농산물과 친환경 농산물에서 농약이 계속 검출되기 때문이다.
국회 교과위 권영진 한나라당 의원을 통해 입수한 서울시교육청의 2011년 상반기 학교급식 잔류농약검사 결과를 보면 초등학교 103곳 중 14곳에서 잔류농약이 나왔다. 이 중 7곳은 친환경 무농약 쌀에서, 7곳은 채소에서 농약이 검출됐다.
이와 관련해 시교육청은 7일 친환경 쌀에서 농약이 검출됐다는 보도 자료를 냈으나 채소 검사 결과는 공개하지 않아 농약 검출 사실을 축소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일고 있다.
채소에서 농약이 나온 7곳 중 용산구의 C초등학교는 무농약 양송이에서 일반농산물 허용기준의 60%에 이르는 농약이 나왔다. 나머지 6곳의 경우 오이와 배추에서 농약이 나왔지만 일반 농산물이라는 이유로 ‘적합’ 판정을 받았다.
권 의원은 “곽노현 교육감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친환경 무상급식을 한다고 선전하면서 1인당 급식비를 올렸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농약이 나왔다”면서 “급식 대상을 무조건 확대하기보다는 안전한 농산물을 제공하기 위한 전수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동아일보 2011/8/23>
메모 :
'교육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내 아이 성적 쑥쑥 올리는 두뇌 활용법 (0) | 2011.08.28 |
---|---|
[스크랩] 초중등 수학교과 변화에 따른 대처방안 (0) | 2011.08.28 |
[스크랩] 교육감직선제 이 기회에 고쳐야 (0) | 2011.08.28 |
[스크랩] 2012학년도 초등학교 조기입학 신청 앞둔 학부모의 고민 (0) | 2011.08.28 |
[스크랩] 퍼주기 아닌 자생력 키우는 복지돼야 (0) | 2011.08.28 |